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Neko_(software) Original article: w:Neko (software) Neko 는 크로 스-플랫폼 오픈-소스 애니메이션 커서-쫓는 고양이 스크린메이트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Neko ( 猫 , ねこ )는 고양이 에 대한 일본어 단어입니다. Introduction 모니터 화면의 크기가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해상도가 증가하고, 이런 상황 아래에서 마우스의 위치를 한 번에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특히, 다른 일을 하다가 화면을 처음 바라보았을 때, 마우스를 흔들어서 위치를 확인하려고 시도하고 이것 마저 배경화면과 마우스 포인터의 색상에 비슷하면 포인터를 찾기에 시간 소모를 겪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마우스를 돋보이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고, 그 중 하나가 Oneko입니다. Installation 아래 설명처럼, 데비안 저장소에는 oneko라는 이름으로 패키지가 존재합니다: sudo apt install oneko About Neko Neko는 원래 NEC PC-9801 에 대해 작성되었습니다. 그것은 나중에 1989년 Kenji Gotoh에 의해 Macintosh로의 데스크 액세서리 로 이 식 되었습니다. 그는 역시 Neko에 대한 수면 그래픽을 디자인했습니다. X 버전은 나중에 Masayuki Koba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스프라이트 는 마우스 포인터를 따라다닙니다. System 7 버전에서, 포인터는 마우스, 물고기, 또는 새와 같은 다양한 고양이 장난감으로 수정될 수 있습니다. Neko가 포인터를 따라잡았을 때, 몇 초 동안 화면을 응시하고, 몸에 가려운 곳을 긁고, 하품하고, 포인터가 방해받을 때까지 잠이 들 것입니다. 창 모드에서, Neko는 창 경계에서 멈추고 창 가장자리를 긁었습니다. Other appearances Neko 고양이는 다른 많은 프로그램에서 스프라이트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
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부등식의_영역에서의_최대_최소 일차부등식 에서 \(x\) 변수와 \(y\) 변수의 영역이 각각 주어졌을 때, 이들 사이의 사칙연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이것을 좌표평면 위에 부등식의 영역으로 표시했을 때에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1\leq x\leq 4, 2\leq y\leq 4\)의 영역에서 \(x+y\)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구하려는 값을 \(x+y=k\)라고 둡니다. \(y=-x+k\)로 일차함수로 바꿉니다. 부등식의 영역을 좌표평면 위에 표시합니다. 부등식의 영역을 지나면서 \(y\)절편의 영역을 표시합니다. \(y\)절편의 최댓값을 구합니다.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부등식의 영역을 지나는 직선의 \(y\)절편은 \(3\leq k \leq 8\)의 사이를 움직입니다. 그러므로 최솟값은 3, 최댓값은 8입니다. 여기서는 \(x,y\)에 대한 각각의 영역이 주어진 경우입니다. \(x,y\) 변수가 부등식으로 각각 주어지면 직사각형 모양의 부등식의 영역이 만들어집니다. 만약, 연립부등식의 영역 으로 주어지면, 먼저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점 \((x,y)\)의 영역을 좌표평면 위에 표시를 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 \(f(x,y)=k\)로 두고, 이 도형이 부등식의 영역을 지날 때에 \(k\)의 값을 범위를 기하학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mathbf{ f(x,y)=k}\)의 꼴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x+y=k\) \(\Rightarrow y=-x+k\)의 \(y\)절편 \(y-x^2=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