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rfs을 사용할 경우에서, 컴퓨터 재시작 후에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https://lore.kernel.org/linux-btrfs/283624a8-dc79-4dd0-b6e5-9d5e83e31648@gmx.com/T/#ma9fa3134de084a38c2b208def66619e7a8561085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chroot 후에 다음으로 수정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sudo btrfs rescue zero-log /dev/sdX 이 문제는 지속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체로 6.15.3을 푸시한 이후 CachyOS에서 약 50-80개의 보고서가 제출되었고, Fedora 및 archlinux에서도 보고서가 증가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데비안 13 시스템에서, 커널을 지속적으로 컴파일해서 사용해 왔지만, 이런 현상을 만날 수 없었습니다. 데비안 시스템은 /boot를 별도로 ext4 파티션으로 나누어 두었기 때문에, 이것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평행이동
평행이동은 점이나 도형을 회전 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옮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좌표축을 평행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점의 평행이동
오른쪽 그림처럼 좌표평면 위의 점 \(\mathrm P(x, y)\)를 \(x\)축 방향으로 \(a\),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점 \(\mathrm P'(x',y')\)라고 했을 때, 두 점의 좌표 사이에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합니다.
\(\quad\)\(x'=x+a,y'=y+b\)
즉, 다음과 같이 변환이 표시됩니다.
\(\quad\)\(\mathrm T: (x,y)\longrightarrow (x+a,y+b)\quad \cdots (1)\)
도형의 평행이동
좌표평면 위에 도형의 방정식 \(f(x,y)=0\)이 있을 때, (1)의 변환에 의해서 이동된 도형의 방정식은 \(f(x'-a,y'-b)=0\)으로 나타내어집니다.
그러나 이동 후에는 \(x',y'\)은 변수를 표현하는 것 외에는 이동(변환)과는 상관없기 때문에
\(x,y\)를 사용해서 \(f(x-a,y-b)=0\)라고 표시합니다.
점과 도형은 같은 변환을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도형의 이동에서 이동 후의 도형이 주어지면, 이 도형에 사용된 \(x,y\)는 \(x',y'\)으로 바꾸고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변환의 관계식인 \(x'=x+a, y'=y+b\)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응용예제
응용예제1
이차항의
계수가 2인 이차함수 \(y=f(x)\)를 \(x\)-축, \(y\)-축 방향으로 모두 3만큼 평행이동 하였더니,
\((2,3)\)을 지나고 함숫값이 0이 되는 \(x\)-값이 단 하나 존재합니다. \(y=f(x)\)의 꼭짓점의 좌표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