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rfs을 사용할 경우에서, 컴퓨터 재시작 후에 부팅이 되지 않는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https://lore.kernel.org/linux-btrfs/283624a8-dc79-4dd0-b6e5-9d5e83e31648@gmx.com/T/#ma9fa3134de084a38c2b208def66619e7a8561085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chroot 후에 다음으로 수정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sudo btrfs rescue zero-log /dev/sdX 이 문제는 지속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체로 6.15.3을 푸시한 이후 CachyOS에서 약 50-80개의 보고서가 제출되었고, Fedora 및 archlinux에서도 보고서가 증가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편, 데비안 13 시스템에서, 커널을 지속적으로 컴파일해서 사용해 왔지만, 이런 현상을 만날 수 없었습니다. 데비안 시스템은 /boot를 별도로 ext4 파티션으로 나누어 두었기 때문에, 이것과 관련이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블로그 글 작성에서, 수식 표현은 수학, 과학, 공학, 기술, 등과 관련된 글을 작성할 때 필수적입니다. 여러가지 기법을 통해 수식 표현이 가능할지라도, 화면에 표시되는 최종 결과물의 품질을 위해 LaTeX에서 사용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LaTeX은 화면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식과 출력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입력을 렌더링한 후에 원하는 출력 결과물을 만들수 있습니다. 이런 렌더링을 호스팅 업체에서 직접 서비스로 지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디어위키는 Mathoid 서비스를 통해 수식 표현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디어위키를 사용하는 위키피디아들은 자체 Mathoid 서비스를 통해 수식 표현을 지원합니다. 반면에, 호스팅 업체에서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렌더링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 수식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런 외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이전에 티스토리에서 글 작성에서도 검색에서 최상위에 노출되는 방법들 (아마도 오래된 정보)은 동작하지 않았지만, 다행히 동작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2025년 7월 기준, 같은 방법을 여기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제대로 작동합니다. https://www.blogger.com 으로 접근합니다. 왼쪽 꼭대기 가로줄 3개를 눌러서 테마를 선택합니다. 맞춤 설정 옆에 있는 아래 방향 화살표 를 눌러서 HTML 편집 을 선택합니다. <head> 아래에 다음을 삽입하고 저장합니다: <script async='async' id='MathJax-script' src='https://cdn.jsdelivr.net/npm/mathjax@3/es5/tex-mml-chtml.js'/> 게다가, 특정 테마에서는 위의 내용을 적용해도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좀 더 보편적인 방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