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GNOME_Display_Manager 그놈 버전 49가 출시되면서, GDM-49가 같이 출시되었습니다. 몇 가지 문제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버전 49.0.1을 설치 후에, 부팅 자체가 완료되지 않고 다른 tty로 접근도 되지 않습니다. 리커버리로 부팅 후에, lightdm으로는 부팅이 됩니다. 이와 관련된 버그는 다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gdm3/+bug/2121017 결론적으로, 오래 전에 설치된 시스템에서 /etc/nsswitch.conf 파일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shadow: files systemd와 같이 수정해서 GDM 로긴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다른 문제는 Xsession이 목록화되지만, 해당 세션으로 접근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Xsession으로 접근 후에, GDM이 오동작해서 다른 Wayland 세션으로 로그인할 수도 없습니다. 이때, 다른 tty로 접근해서 GDM을 재시작하면 제대로 동작합니다. 만약 Xsession으로 로그인하고 싶을 때에는 lightdm과 같은 다른 로긴 관리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덧, 만약 GDM에서 Xsession으로 정상적으로 로긴하기 위해, GDM 패키지를 다시 컴파일해야 합니다. 데비안 패키지에서 GDM-49.0.1 파일을 받아서 debian/rules 파일에서 -Dgdm-xsession=true 구성 옵션을 추가해야 합니다.
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QEMU/Moving_partitions
QEMU 아래에 설치된 Debian은 설치에서 BIOS, UEFI에 따라, 그리고 설치 이미지에 따라 다르게 파티션이 존재합니다.
원래는 /boot/efi, swap, /boot 파티션 등이 별도로 존재했지만, 모든 파티션을 하나로 합쳐둔 상태입니다.
문제는 Btrfs을 사용하려면, /boot 디렉토리의 내용을 별도의 etx4 파티션으로 옮겨야 합니다. (아니면, grub에서 btrfs을 지원하는 패치가 있을지도)
그렇지 않으면, / 파티션을 btrfs으로 변환 후에 부팅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현재 QEMU 아래에서 설치된 데비안은, 짐작하는데로, /boot/efi 파티션을 별도로 나누지 않았기 때문에, BIOS 펌웨어를 사용합니다.
먼저, GParted 이미지로 부팅합니다. 그런-다음
- Partition->Resize/Move
- Free space preceding (MiB) : 600M
- 체크 표시를 선택하면, 이전 사용하던 공간이 뒤로 밀립니다. (꽤 시간이 걸립니다)
- 그리고 /dev/vda2에 ext4 파티션으로 포맷됩니다.
- /dev/vda2에서 마운트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Manage Flags를 누릅니다.
- boot를 선택합니다.
- shutdown
- booting debian
- sudo mount /dev/vda2 /mnt
- sudo cp -a /boot/* /mnt
- sudo umount /mnt
- sudo blkid /dev/vda2
- sudo vi /etc/fstab
- UUID=... /boot ext4 defaults,noatime 0 2
- sudo update-grub
- reboot debian live image
- Debian/Btrfs에 따라 변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BIOS 펌웨어 아래에서, 위에서 처럼, /boot 파티션을 600M 정도로 만들면, 데비안에서 제공하는 리눅스 커널 6.x 버전은 3개까지 설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번째 커널 이미지를 설치하기 위해, 이전 커널을 먼저 지워야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