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FreeBSD
FreeBSD는, Research Unix를 기반으로 하는,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BSD)에서 유래한 자유와 오픈-소스 유닉스-계열 운영 시스템입니다. FreeBSD의 첫 번째 버전은 1993년에 출시되었습니다. 2005년에서, FreeBSD는 설치된 BSD 시스템 전체의 4분의 3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유명한 오픈-소스 BSD 운영 시스템이었습니다.[1]
FreeBSD는 범위와 라이센스에서 두 가지 주요한 차이점과 함께 리눅스와 유사성을 가집니다: FreeBSD는 완전한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즉, 커널(kernel), 장치 드라이버, 사용자층(userland) 유틸리티, 그리고 문서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이고, 반면에 리눅스는 커널 및 드라이버, 그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해 제 3자에게 의존합니다;[2] 그리고 FreeBSD 소스 코드는 일반적으로 리눅스에 의해 사용되는 카피레트프 GPL과는 반대로, 허가된(permissive) BSD 라이선스 아래에서 출시됩니다.
FreeBSD 프로젝트는 기본 배포판에 포함된 모든 소프트웨어를 감독하는 보안 팀을 포함합니다. 추가적인 타사 응용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부분은 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 또는 FreeBSD 포트를 사용하여 설치하거나, 소스 코드를 컴파일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습니다.
FreeBSD의 코드베이스의 대부분은 Darwin (macOS, iOS, iPadOS, watchOS, tvOS에 대한 기초), TrueNAS (오픈-소스 NAS/SAN 운영 시스템), 및 PlayStation 3과[3][4] PlayStation 4[5] 게임 콘솔에 대해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같은 다른 운영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어 왔습니다.
Installation
FreeBSD 14.2에 대해, 설치 과정을 정리해 둡니다.
설치 매체 구하기
카이스트 ftp 서버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큰 dvd1.iso를 내려받았습니다.
TrueOS를 먼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부팅 후에 설치를 계속합니다.
Kernel config
가상 기계에서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커널 옵션을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괄호 안은 clang으로 컴파일할 때)
- make kvm_guest.config (또는 make CC=clang LD=ld.lld LLVM=1 LLVM_IAS=1 kvm_guest.config)
가상 기계
부팅 후에 콘솔에서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해, UEFI로 반드시 바꾸시기 바랍니다.
- 메모리 : 4G
- CPU : 4
- HDD : 25G
설치 시작
부팅 후에 B를 눌러서 다중 사용자 모드로 부팅합니다:
- Welcome: Install을 선택합니다.
- Keymap Selection: Continue with default keymap을 선택합니다. 아직 한글 키보드 선택은 없습니다.[6]
- Set Hostname: freebsd 정도로 입력합니다.
- Distribution Select: 기본값 kernel-dbg는 제거하고, lib32, ports를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 Partitioning: 기본값 Auto (ZFS)을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 ZFS Configuration: 기본값으로 진행합니다.
- ZFS Configuration: 기본값으로 진행합니다.
- ZFS Configuration: 찾아지는 HDD를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 ZFS Configuration: 그동안 선택된 사항을 저장하고, 맞으면 YES로 옮기고 진행합니다.
- Installing: 파티션을 만들고, 파일 시스템을 만들고,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Root Password: 입력합니다.
- Network Configuration: vtnet0가 확인됩니다. (virtualbox : em0)
- IPv4 구성: Yes선택합니다.
- DHCP 사용: Yes선택합니다.
- IPv6 구성: No선택합니다.
- Resolver Configuration: 확인하시고, OK를 누릅니다.
- Time Zone Selector: Asia/Korea (Republic of)
- Confirmation: 'KST' 확인창을 보고, YES로 진행합니다.
- Time & Date: 날짜가 맞으니 Skip을 누릅니다.
- Time & Date: 시간을 맞춥니다.
- System Configuration: 부팅시 시작할 서비스를 골라줍니다. 전부 제거하고 진행합니다.
- System Hardening: 시스템 보안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기본값으로 진행합니다.
- Add User Accounts:
- Username: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 Full name: 입력 안하셔도 됩니다.
- Uid (Leave empty for default): ↵ Enter
- Login group: ↵ Enter
- Login group is user_id. Invite user_id into other groups? : wheel
- Login class [default]: ↵ Enter
- Shell (sh csh tcsh nologin) [sh]: tcsh
- Home directory: ↵ Enter
- Home directory permissions: ↵ Enter
- Enable ZFS encryption? (yes/no) [no]: ↵ Enter
- Use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yes]: ↵ Enter
- Use an empty password? ↵ Enter
- Use a random password? ↵ Enter
- Enter password:
- Enter password again:
- Lock out the account after creation?: ↵ Enter
- OK?: yes
- Add another user?: no
- Final Configuration: 지금까지 설정한 부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은 다시 들어가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anual Configuration: 쉘을 열어서 수동으로 설정할 부분이 있는지 확인을 합니다. No를 누릅니다.
- Complete: Reboot를 누릅니다.
재시작하면 설치가 마무리 됩니다. 터미널 환경만 있기 때문에 GUI 환경을 구성해야 합니다. 재시작 후에 설정을 계속합니다.
Using Qemu/KVM
해상도 변경은 /boot/loader.conf 파일에 다음을 추가해 보십시오
- efi_max_resolution="854x480"
- pkg update
- pkg install fish neovim sudo
- nvim /usr/local/etc/sudoers
- chsh -s /usr/local/bin/fish
- chsh -s /usr/local/bin/fish user_id
- pkg install xorg
- pkg install gnome
- nvim /etc/fstab
# Device Mountpoint FS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fs rw 0 0
- pkg install alacritty starship zoxide freecolor neovim
- sysrc dbus_enable="YES"
- sysrc gdm_enable="YES"
- Xorg -configure
- cp /root/xort.conf.new /usr/local/etc/X11/xorg.conf
Section "Device"
Driver "scfb"
- nvim /boot/loader.conf
ums_load="YES"
Shutdown 후에 Virt-manager에서
- Add hardware -> Input -> Choose USB Mouse
재시작 후에 GDM으로 로그인 가능합니다.
Using vmware workstation
먼저, root 사용자로 로그인 합니다.
Port Update
- pkg update
Change fish shell
- pkg install fish neovim sudo
- chsh -s /usr/local/bin/fish
- chsh -s /usr/local/bin/fish user_id
일반사용자를 wheel 그룹에 등록한 후에, /usr/local/etc/sudoers 파일을 수정합니다.
%wheel ALL=(ALL) ALL
앞의 주석을 제거해 줍니다.
X Windows
- pkg install xorg
- pkg install xf86-video-vmware
- pkg install xf86-input-vmmouse
- Xorg -configure
- cp xorg.conf.new /usr/local/etc/X11/xorg.conf
모든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설정을 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만약 자동으로 설정을 했을 때 기능이 완전하지 못하면 수동으로 설정을 해야 합니다.
Install gnome
- pkg install gnome
- nvim /etc/fstab
# Device Mountpoint FStype Options Dump Pass#
proc /proc procfs rw 0 0
- sudo sysrc dbus_enable="YES"
- nvim .xinitrc
exec gnome-session
Install Open VM tools
- pkg install open-vm-tools
- nano /etc/rc.conf
vmware_guest_vmblock_enable="YES"
vmware_guest_vmhgfs_enable="YES"
vmware_guest_vmmemctl_enable="YES"
vmware_guest_vmxnet_enable="YES"
vmware_guestd_enable="YES"
한글 입력기
- pkg search hangul
ko-fcitx-hangul-0.3.0 Hangul support for Fcitx
ko-ibus-hangul-1.5.0 Hangul input engine for IBus
ko-imhangul-gtk2-2.1.1 Hangul input module for GTK+ 2.0
ko-imhangul-gtk3-3.1.1 Hangul input module for GTK+ 3.0
ko-libhangul-0.1.0_3 Library for Hangul processing
ko-scim-hangul-0.4.0_3 SCIM IMEngine module for Korean(Hangul) input
- sudo pkg install ko-ibus-hangul
New packages to be INSTALLED:
ko-ibus-hangul: 1.5.0
ko-libhangul: 0.1.0_3
...
If you are using bash or zsh, please add following lines to your $HOME/.bashrc or
$HOME/.zshrc:
export XIM=ibus
export GTK_IM_MODULE=ibus
export QT_IM_MODULE=xim
export XMODIFIERS=@im=ibus
export XIM_PROGRAM="ibus-daemon"
export XIM_ARGS="-r --daemonize --xim"
한글 글꼴
한글 폰트는 나눔폰트보다 noto-kr이 더 보기 좋습니다.
- sudo pkg install noto-kr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