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GNOME_Display_Manager 그놈 버전 49가 출시되면서, GDM-49가 같이 출시되었습니다. 몇 가지 문제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버전 49.0.1을 설치 후에, 부팅 자체가 완료되지 않고 다른 tty로 접근도 되지 않습니다. 리커버리로 부팅 후에, lightdm으로는 부팅이 됩니다. 이와 관련된 버그는 다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gdm3/+bug/2121017 결론적으로, 오래 전에 설치된 시스템에서 /etc/nsswitch.conf 파일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shadow: files systemd와 같이 수정해서 GDM 로긴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다른 문제는 Xsession이 목록화되지만, 해당 세션으로 접근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Xsession으로 접근 후에, GDM이 오동작해서 다른 Wayland 세션으로 로그인할 수도 없습니다. 이때, 다른 tty로 접근해서 GDM을 재시작하면 제대로 동작합니다. 만약 Xsession으로 로그인하고 싶을 때에는 lightdm과 같은 다른 로긴 관리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덧, 만약 GDM에서 Xsession으로 정상적으로 로긴하기 위해, GDM 패키지를 다시 컴파일해야 합니다. 데비안 패키지에서 GDM-49.0.1 파일을 받아서 debian/rules 파일에서 -Dgdm-xsession=true 구성 옵션을 추가해야 합니다.
원문 보기: https://dawoum.duckdns.org/wiki/리눅스에서_카카오톡_설치하기
이전 글 데비안에서 카카오톡 설치하기에서, Wine (software)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카카오톡을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한편, 최신 버전, 예를 들어, 10.5에서 카카오톡 설치가 쉽다고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일부 사용자에게는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냥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카카오톡이 설치되도록 만들어진 것이 있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위의 링크에 있는 PKGBUILD를 보면, 실제로 필요한 것은 아래 3가지이고, 2개는 라이선스 파일입니다:
- kakaotalk
- kakaotalk.desktop
- kakaotalk.png
패키지 만드는 것이 어려운 분들은 아래로 옮깁니다:
- /usr/bin/kakaotalk
- /usr/share/applications/kakaotalk.desktop
- /usr/share/icons/hicolor/256x256/apps/kakaotalk.png
그런-다음 와인 설치를 하지 않았으면, 다음 명령으로 와인을 설치합니다 (이미 와인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과정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bash curl desktop-file-utils wine xdg-utils
다음으로 스크립트를 실행해서 카카오톡을 설치합니다:
- kakaotalk
중간에 mono 등이 설치될 수 있고, 환경이 구축되어 있으면, cancel을 선택해서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는 ~/.local/share/kakaotalk 디렉토리 아래에 설치되고, 단지 ~/AppData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문제 발생시에 위의 3개의 파일과 ~/.local/share/kakaotalk, ~/AppData 디렉토리를 제거하십시오.
Troubleshootings
글꼴 크기 문제
Wine과 마찬가지로 글꼴 크기 수정을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글 입력기
댓글
댓글 쓰기